• 최종편집 2024-03-26(금)

연천 민통선에 숨겨진 대규모 고인돌 집단지 발견

완벽보존 ‘별자리 고인돌’ 주목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9.12.11 17:19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연천민통선_고인돌_30s.jpg
연천군 중면 민통선 내 고인돌 집단지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남방식 고인돌'인 무지석 지석묘. ⓒ뉴스매거진21

 

 

 

[뉴스매거진21-중앙일보 공동취재]

   경기도 연천군 중면 민통선 지역에서 원형이 고스란히 보존된 25002700년 전 이상 된 청동기 시대 무덤인 고인돌이 무더기로 발견됐다. 특히 민간인의 출입이 금지된 이곳에서는 완벽하게 보존된 남방식 고인돌인 무지석 지석묘(無支石 支石墓: 돌기둥이 없고 바닥에 작은 돌을 깐 고인돌)’가 국내 처음으로 잇따라 확인됐다. 이와 함께 고인돌보다 드물게 발견되는 거대한 자연석으로 만든 선돌과 곡식을 가는 데 사용한 현무암 연석’, 돌을 가공해 만든 석검등 청동기 시대 유물도 함께 나와 고고학계의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2일 오후 연천군 중면 마거리 민통선 내 진명산 까마봉 정상 부근인 해발 266m 산비탈에는 원형이 그대로 보존된 무지석 지석묘 1개가 있었다. 가로 3m, 세로 2m, 두께 70㎝∼1m 크기다. 운모편마암으로 된 이 고인돌은 같은 재질의 커다란 바위 위에 잔돌을 깔고 놓여 있다. 주변엔 수풀이 우거진 상태였다. 이곳은 휴전선과 불과 5거리다. 이곳과 500m 거리에는 7개의 무지석 지석묘가 일렬로 늘어선 채 반쯤 땅에 묻혀 있는 열석방식으로 조성된 고인돌이 보였다


연천민통선_고인돌_36s.jpg
경기도 연천군 중면 마거리 민통선 내 고인돌 집단지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무지석 지석묘ⓒ뉴스매거진21
민통선 고인돌_04s.jpg
이병주 국사편찬위원회 경기연천군사료조사위원이 소개하고 있다. ⓒ뉴스매거진21

  

민통선 고인돌_06s.jpg
이병주 국사편찬위원회 경기연천군사료조사위원이 소개하고 있다. ⓒ뉴스매거진21

      

map6.jpg
경기도 연천군 중면 마거리 민통선 내 고인돌 발견 지역 ⓒ뉴스매거진21

  

원형 보존된 남방식 고인돌인 무지석 지석묘잇따라 발견

   현장을 안내한 이병주 국사편찬위원회 경기연천군사료조사위원은 국내에서 발견된 무지석 지석묘 가운데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것 중 하나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 정도 보존상태라면 고인돌 아래에 석검·석촉 등 청동기시대 부장품이 그대로 묻혀 있을 것으로 보인다형태로 볼 때 2500여 년 전인 기원전 45세기 청동기시대 족장의 무덤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열석 고인돌은 보기 드문 형태의 고인돌 집단지의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연천민통선_고인돌_03as.jpg
연천군 중면 민통선 내 고인돌 집단지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북방식 고인돌'. 받침돌이 무너져 상석이 비스듬히 놓여 있다. ⓒ뉴스매거진21

  

 

연천민통선_고인돌_16s.jpg
고인돌에 약 한뼘 간격으로 성혈이 5개가 이어져있다. ⓒ뉴스매거진21

  

 

연천민통선_고인돌_19s.jpg
고인돌 주변 집터용 주춧돌로 추정된다. ⓒ뉴스매거진21

 

 

연천민통선_고인돌_38s.jpg
곳곳에 성혈의 흔적이 있는 고인돌 ⓒ뉴스매거진21

  

   이곳에서 300m 거리의 콩밭 옆에도 비슷한 크기의 무지석 지석묘가 있었다. 지석묘 상석 바깥쪽에는 직경 34, 깊이 25크기의 구멍인 성혈’ 5개가 나란히 파여 있었다. 이 고인돌 옆에는 자연석으로 된 어른 키 높이 정도인 가로 1m, 세로 2m 크기의 선돌이 세워져 있었다.

 

연천민통선_고인돌_12s.jpg
경기도 연천군 중면 마거리 민통선 내 고인돌 집단지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선돌'. ⓒ뉴스매거진21

 

별자리 의미로 뚫어 놓은 성혈도 상석에 존재

    이병주 위원은 고인돌 상석에 성혈이 뚜렷하게 남아 있는 것은 드문 일이라며 성혈은 별자리를 의미하거나 주술적 의미로 뚫어 놓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고인돌 옆 운무편마암 절벽에서는 7개의 구멍을 일렬로 뚫어 놓은 성혈도 발견됐다이는 북두칠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민통선 고인돌_03.jpg
연천군 중면 마거리 민통선 내 고인돌 집단지 옆 암석에 파여진 7개의 '성혈'. 북두칠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병주

   이병주 위원은 선돌이 발견된 점을 볼 때 아늑한 분지 지형을 이룬 이곳에 청동기 시대에 마을이 형성돼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특히 이 지역에서는 청동기 시대에 곡식을 돌로 가는 데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현무암으로 만든 25길이 연석과 사냥할 때 사용했던 10길이 석검도 발견된 점으로 볼 때 청동기 시대 주거지임이 분명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곳에선 이와 함께 구석기 시대의 주먹도끼도 발견돼 학술적 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연천민통선_고인돌_02s.jpg
연천군 중면 민통선 내 고인돌 집단지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북방식 고인돌'. 받침돌이 무너져 상석이 비스듬히 놓여 있다. ⓒ뉴스매거진21

  

연천민통선_고인돌_04s.jpg
연천군 중면 민통선 내 고인돌 집단지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북방식 고인돌'. 받침돌이 무너져 상석이 비스듬히 놓여 있다. ⓒ뉴스매거진21

 

   특히 선돌 100m 지점에는 받침돌이 양쪽에 있는 북방식 지석묘도 발견됐다. 하지만 이 고인돌은 받침돌이 쓰러진 상태로 상석이 비스듬히 받침돌 위에 놓여 있었다. 500m 이내 콩밭 주변에도 땅에 묻힌 무지석 지석묘 5개가 보였다. 콩밭 경계 곳곳에도 밭을 개간하며 들어낸 것으로 보이는 무지석 지석묘 상석 6개가 방치돼 있었다.  

 

마을 상징하는 선돌과 곡식 가는 청동기 유물 연석도 나와

    이곳에서 1거리인 연천군 중면 적거리 민통선 내에서는 지난 20057월 국내 처음으로 원형이 완벽하게 보존된 무지석 지석묘가 최무장 전 건국대박물관장에 의해 발견됐다. (중앙일보 2005723일자 10

  

   임진강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동서로 놓인 이 상석은 가로 2.7m, 세로 2m, 두께 25~60크기로 바닥과 주변(길이 5.3m, 2.2m)에 돌을 깨서 만든 길이 10~20의 받침돌이 장방형으로 가지런히 깔려 있다.

 

   매끈하게 다듬은 화강편마암으로 이뤄진 상석 윗면에는 동그랗게 구멍을 파서 북두칠성 모양으로 배치한 성혈 7개가 뚜렷하게 남아있다. 당시 주변 300m 지점 콩밭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무지석 지석묘 2개를 발견했다. 이 지석묘 상석에선 성혈이 각각 23개와 2개가 패어 있다. 최무장 전 관장은 상석에 북두칠성을 뜻하는 일곱 성혈을 새긴 것은 드문 일로 학술 가치가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연천민통선_고인돌_58s.jpg
연천군 중면 민통선 내에서 지난 2005년 7월 발견된 별자리를 의미하는 ‘성혈’이 파여진 ‘무지석 지석묘’. 최무장 전 건국대박물관장이 소개하고 있다. ⓒ전익진

 

    현장을 확인한 이석우 연천임진강시민네트워크 공동대표는 연천 민통선 지역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지만, 역사적인 선사시대 유물인 고인돌 100여 개가 집단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남방식 고인돌인 무지석 지석묘의 형태가 그대로 남아 있는 가운데 북방식 고인돌까지 함께 발견된 점은 학술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설명했다. 연천임진강시민네트워크는 연천 민통선 지역 고인돌에 대한 체계적인 지표조사가 실시되고, 문화재 및 고인돌 마을로 지정해 보존 및 관리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연천민통선_고인돌_48s.jpg
경기도 연천군 중면 마거리 민통선 내 고인돌 집단지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연석'. ⓒ뉴스매거진21

  

연천민통선_고인돌_44s.jpg
경기도 연천군 중면 마거리 민통선 내 고인돌 집단지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석검'. ⓒ뉴스매거진21

  

연천민통선_고인돌_54s.jpg
경기도 연천군 중면 마거리 민통선 내 고인돌 집단지에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주먹도끼'. ⓒ뉴스매거진21

  

연천민통선_고인돌_56s.jpg
경기도 연천군 중면 마거리 민통선 내 고인돌 집단지에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주먹도끼'. ⓒ뉴스매거진21

  

북한 별자리 고인돌과 비슷한 성혈발견된 것 의미  

평양 지역 고인돌 연계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 동시추진 가치있어

 

   이와 관련, 임효재(전 서울대박물관장) 동아시아고고학연구회장은 연천 민통선 지역에서 이번에 발견된 무지석 지석묘와 북방식 지석묘 등은 북한 평양 인근 지역을 방문해 답사해본 고인돌과 매우 유사하다남방식·북방식 고인돌을 동시에 연구하고 고인돌의 변천사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고고학적 자원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임 회장은 또 연천 민통선 고인돌과 북한의 고인돌에서 별자리를 상징해 뚫어 놓은 구멍인 성혈이 동시에 발견되는 점은 의미가 크다우리나라는 청동기 시대부터 별자리를 관찰했다는 천문학적인 우수성을 보여주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에서는 이런 고인돌을 별자리 고인돌이라 이름 붙여 독보적인 선사시대의 천문학 유물이라고 소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 회장은 이에 따라 원형이 잘 보전되고 다수가 분포해 있는 연천 민통선 지역 고인돌과 북한 평양 지역 고인돌을 연계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동시에 추진해볼 가치가 있어 보인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

  • 1254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연천 민통선에 숨겨진 대규모 고인돌 집단지 발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